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피씨 합병 그리고 차기 투자처는?

by 써드리포트 2021. 12. 8.
반응형

디피씨 합병 그리고 차기 투자처는?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고압변성기를 제조, 판매 등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본업보다 투자수익이 더 큰 디피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피씨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디피씨 종합정보

우선 디피씨는 1982년 전자레인지에 들어가는 고압변성기와 노이즈 필터, 인버터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어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LG전자 등이 있다. 하지만 고압변성기 제조 회사인 디피씨가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스틱인베스트먼트의 투자성과에 따라서 주가의 움직임이 크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디피씨의 대표이사 회장 겸 스특인베스트먼트 회장인 도영환 회장의 영향이 크다. 도용환 회장은 국내 1세대 사모펀드 운용사(PEF)로 꼽히는 스틱인베스트먼트의 창업자이자 사모펀드계의 맏현으로 꼽힌다. 스틱인베스트먼트는 코스피 상장사인 디피씨에 흡수합병이 되면서 국내 대형 사모펀드 운용사 가운데 첫 상장사라는 타이틀을 가지 개 되었고, 스틱인베스트먼트를 블랙스톤, 칼라일, 아레스와 같이 대형사모천드운용사로 키우는데 관심을 쏟고 있다.

디피씨의 투자처

디피씨의 투자처중 단연 빅히트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작년 8월 빅히트(하이브)의 상장 소식에 주가가 출렁이며 10월 하이브 상장까지 엄청난 렐리를 보여주기도 했다. 거기에 지난 4월 저스틴 비버와 아리아니 그란데 등의 매니지먼트를 맡고 있는 미국 이타카 인수 소식에 강세를 보인 디피씨의 하이브 지분은 12%이며 최근에는 동남아의 우버라고 불리는 그랩의 뉴욕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다시 한번 뜨거워졌었다. 디피씨는 그랩에 2억 달러 한화 약 2200억 원을 투자했으며, 아쉽게도 그랩은 나스닥 상장 첫 거래일에 20% 급락하며 스펙 상장 당시 37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은 대비 20%가 급락하면서 20억 달러가 증발하였다. 하지만 디피씨 입장에서는 실패한 투자라고는 보기 힘든 것은 중국의 우버가 있지만 우버의 경우 미국과 중국의 냉전으로 인해 대체 회사라고 불리기 때문에 추후 분명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디피씨 매출 및 재무제표

디피씨 제조서비스 법인별 매출

디피씨는 투자로 막대한 매출을 내고 있지만 제조업의 국내와 해외 법인의 매출이 최근 1200억 원 으로 제조업의 매 출또 안 선전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히려 투자이익의 경우에는 지분을 매각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조업의 매출이 더욱 커 보이는 효과가 있다.

디피씨 기업실적

코로나19 이후 대부분의 기업들과는 달리 영업이익과 부채비율은 꾸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모습으로 투자자 입장에서 볼때는 매우 안정적이 회사라고 보일 듯하다.

디피씨 향후 전망 및 시세

디피씨 일봉차트

디피씨는 최근 스틱인베스트먼트와 합병한 후 디피씨를 분할 신설회사로 분할하여 내년 2월 15일부터는 코스피시장에서는 스틱인베스트먼트라고 불릴 것이다. 디피씨와 스틱인베스트먼트와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기대심리로 주가에 반영되는 시장인 만큼 제조회사의 디피씨보다 스틱인베스트먼트 투자사의 이름으로 모멘텀이 생긴다면 주가 상승 시 더 높은 상승을 보여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디피씨의 경우 작년 8월 하이브 이슈로 인해 2배 이상의 수익을 내었던 종목으로 매우 정이 가는 종목이다. 내년에 스틱인베스트먼트의 얼굴을 하고 있을 때에는 얼마나 더 큰 상승을 보여줄까라는 기대감이 있지만 디피씨의 특성상 20% 이상 상승을 한다면 수익 실현하자라는 마인드를 항상 가지고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현재 가격보다는 1,200원대부터 소량으로 좋은 재료가 나올 때까지 모아가는 전략으로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