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상화폐 큰손 그레이스케일(Grayscale)

by 써드리포트 2021. 11. 7.
반응형

가상화폐 큰손 그레이스케일(Grayscal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가상 화폐의 큰손 그레이스케일(Grayscal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레이스케일 로고

1. 비트코인 선구자 배리 실버트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2013년에 설립된 미국에 암호화폐 신탁펀드 투자 회사이다. 정식 회사명은 그레이 스케일 인베스트먼트(Grayscale Investments)이며 디지털 커런시 그룹(DCG)의 자회사이다. 창업자는 디지털 커런시 그룹 일명 DCG의 창업자이자 대표이사(CEO)인 배리 실버트(Barry Sillbert)이며, 본사는 미국 뉴욕에 있다. 창업자인 배리 실버트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서 비트코인 투자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하며, 비트코인이 한화 1억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언급한 인물 중 한 명이다.

배리실버트 트위터

2. 점점 볼륨이 커 저가는 DCG

그레이스케일 모사회인 디지털 커런시 그룹(DCG)은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7억 달러(한화 약 8249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함에 따라 DCG기업의 가치는 100억 달러에 육박하는 금액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투자유치는 소프트뱅크 산하 비전 펀드 2호와 라틴아메리카 펀드가 주도하며, 싱가포르투자청, 리빗 캐피털, 캐피털지가 참여했다. 디지털 커런시 그룹은 비트코인 트러스트(GBTC)를 운용하는 자회사 그레이 스케일을 비롯한 가상자산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 가상자산 중개 기업 제네시스, 가상자산 데이터 기업 트레이드 블록등을 소유하고 있다. 가상자산 지갑, 가상자산 소셜트레이딩 거래 플랫폼 이토로 등 200개 기업에 투자함에 따라 가상자산이 곳 DCG고 DCG가 곳 가상자산이라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3.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

그레이스케일이 보유중인 코인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그레이스케일 자산운용사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하여 투자를 하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일반 잡코인으로 불리는 알트코인 보다는 메이저 코인 위주로 투자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일명 기관 투자사는 했지가 가능하며 하락기간을 버틸 수 있는 자금력 또 안 갖추고 있어 무작정 따라 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이 든다. 그래도 실체가 없고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모르는 코인에 투자하기보다는 기관의 수급이 있는 코인을 투자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보인다.

솔라나 차트

3-1 솔라나(SOL)

일례로 지난달 1일 그레이 스케일의 포트에 추가된 솔라나(SOL)도 큰 가격 상승을 보였지만 연초 대비 1000%가 넘는 상승을 이어 갔는데 과연 그레이 스케일에서 지난달에 디지털 라지 캡 펀드에 처음으로 솔라나를 4억9400만 달러 규모의 펀드에 추가 했다는 발표가 있었지만 이 발표를 고지곳대로 받아 드리면 개인투자자로서는 가격적인 매리트 없어 보인다. 장기적인 트레이딩 관점으로는 그레이스케일 포트폴리오중 하락한 종목을 선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호라이젠 차트

3-2 호라 이젠(ZEN)

그레이 스케일 포트폴리오중 비교적 가격 상승을 많이 못한 ZEN 호라이젠이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 이는 많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 않은 이유도 있지만 나스닥에 상장한 코인베이스와 전 세계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넨스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거래소 등 점차 여 러거 래소에 상장하기 시작하면 그 폭발력은 엄청 날 것으로 보인다. (호라이젠과 관련된 포스팅은 따로 하겠습니다.)

4. 그레이 스케일 향후 투자 고려 대상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

11월 2일 자로 수정된 투자 고려 대상 리스트에 테라(LUNA), 아발란체(AVAX)를 추가로 이름을 올렸다. 그레이 스케일의 투자 상품에는 비트코인과 비트고 인 캐시,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등 23개의 디지털 자산에 포함되어 있으며, 향후 투자를 고려하는 암호화폐 리스트에는 이번에 새로 추가된 테라(LUNA)와 아발란체(AVAX)를 포함한 20개의 가상화폐가 올라와 있다. 앞으로 새로 추가된 테라와 아발란체도 예의주시 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반응형

댓글